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37

서울시 임산부, 임신출산 지원제도 혜택 총정리 (2023년~2024년) 서울시 임산부, 임신출산 지원제도 혜택 총정리 (2023년~2024년) 우리나라 출산율이 0.7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함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이 2024년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 글을 통해 정부 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번 글에서 서울시 임산부 기준으로, 임신출산 지원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정부 임신출산 지원제도 혜택 총정리(2023년~2024년) 정부 임신출산 지원제도 혜택 총정리(2023년~2024년) 임산부가 되면서 병원비를 비롯해 지출이 커지게 되고, 자연스럽게 정부 및 지자체의 출산정책에 관심이 생기게 된다. 서울시 임산부 기준으 tae-blog.co.kr (1) 임산부 교통비 지원 서울시에서는 임산부를 위한 교통비 70만원을 지원한다. 임산부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에 70만원.. 2023. 9. 10.
2023년 2024년 서울시 산후조리 경비지원 제도 총정리(2023.09.01) 2023년 2024년 서울시 산후조리 경비지원 제도 총정리 서울시에서 '엄마아빠행복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산후조리 경비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이는 출산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산모의 건강권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으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산후조리 경비지원제도 지원 내용] 지원내용: 산모 1인당 산후조리경비 100만원을 지원하며, 산모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에 100만원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된다. 단태아 100만원, 쌍태아 200만원, 삼태아 300만원이 지원된다. [산후조리 경비지원제도 지원대상 및 신청기한]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으로 6개월 이상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산모 중 2023년 7월 1일 이후 출산한 산모부터 적용된다. 단, 신생아 서울시에 출생신고가 되어야 한다... 2023. 9. 10.
2024년 서울시 임산부 고령 산모 검사비 지원-신청방법, 대상 2024년 서울시 임산부 고령 산모 검사비 지원-신청방법, 대상 만 35세 이상 여성의 출산이 늘어나는 시대 흐름에 맞춰, 2024년 1월부터 서울시에서 전국 지자체 최초로 고령 산모에게 검사비 100만원이 지원된다. 신청 방법, 대상, 사용가능한 검사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시 임산부 고령 산모 검사비 지원 이란?] 2024년 1월부터 전국 지자체 최초로 서울시에서 고령 산모에게 검사비 100만원을 지원한다. 고령 산모는 만 35세 이상의 산모를 기준으로 한다. [서울시 임산부 고령 산모 검사비 지원 대상] 신청일 기준으로, 서울시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만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가 대상이다. 주민등록이 서울시에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지원받을 수 없다. 고령산모 검사비.. 2023. 9. 3.
2024년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서울엄마아빠택시 2024년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서울엄마아빠택시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프로젝트는 양육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양육자가 존중받는 환경 조성을 위해 서울시가 마련한 프로젝트이다. 4대 분유 28개 사업을 추진 하고있으며, 이 중 서울엄마아빠택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엄마아빠택시 란?] 강동구에서 2021년부터 운영해온 '아이맘택시' 사업을 2023년부터 서울시에서 16개 자치구로 확대해 '서울엄마아빠택시'사업으로 통합 운영한다. 2024년에는 전 자치구에 확대시행할 예정이다. -시범 자치구(16개) : 강동, 강북, 강서, 관악, 광진, 금천, 도봉, 동대문, 마포, 서초, 성동, 성북, 양천, 영등포, 용산, 중랑 [신청대상] 서울시 시범 자치구 거주하는, 24개월 이하 영아와 함께 주민등록이.. 2023. 8. 27.